진유림/한정수 이 두분의 세미나를 우연히? 듣게 되고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깊은 고민을 했던 것 같다.
사실 난 공부를 못한다. 정확히는 자가학습이라고 해야하나 정해진 루트와 패턴 혹은 공식 찾기와 같은 문제 해결 말고는 직접 분석하고 혼자서 차려먹는 공부를 어렸을 때부터 못했다. 멍청하다고 생각하진 않았지만 절대적인 공부양이나 상대적인 공부 방법 조차 모든게 부족하다. 이걸 아는데 꽤 오랜 시간이 걸렸고 결론적으로 학원 즉 사교육이 아니면 난 공부를 못하는 녀석이다.
혼자 공부를 못한다는 것은 엄청 게으르고 집중력이 부분도 있는 것 같다. 그러다 보니 혼자서 모든 것을 해결해야 하는 진정한 학습자의 태도와 습관에서 공부시간도 공부머리도 모든게 부족하다고 봐야할 것 같다.
2021.01월 자책은 그만하고 2019년 이후 1년 정도 방황이라면 방황의 시기가 있었고 진유림/한정수 이 두분의 이야기들을 토대로 나도 다시 시작해보려고 한다. (사실 개발자 즉 프로그래머를 계속 해야 하나 생각도 들었었다)
공부에 대한 얘기는 여기서는 길게 하지 않고 한정수님의 글을 따라 가면서 읽어본 내용들에 대해 단순히 기록만 한다.
2021년은 나도 아래와 같은 후기를 남길 수 있어야 겠다. 기억보다는 기록이라는 키워드가 머릿속에 멤돈다.
ryan-han.com/categories/%ED%9A%8C%EA%B3%A0/
회고 | Integerous DevLog
ryan-han.com
이 분이 회고를 쓰게 된 원천 글은 아래와 같다. 여기나온 Mandal-art 계획표는 나도 작성해 보았다.
blog.devjoshua.me/2017/12/28/171228-2017%EB%85%84%ED%9A%8C%EA%B3%A0/
2017년 회고
QA에서 개발로 전직한 주니어 개발자의 블로그입니다
blog.devjoshua.me
그 안에는 또 학습에 실패한 이야기라는 우아한 형제들 글이 있다.
woowabros.github.io/experience/2017/12/11/how-to-study.html
학습에 실패한 이야기 - 우아한형제들 기술 블로그
프로그래머에게 지속적인 학습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덕목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들은 계속 발전하고 변해가며 하나를 배우면 오히려 배울 것이 늘어나는 경험을 항
woowabros.github.io
대표적인 성공사례인 이종립(기계인간) 님의 사례 설명도 있다 (이건 뭐.. 위인전으로 보자)
OKKY | OKKY 미니세미나 <비전공 학원출신 SI개발자, 유명스타트업 들어간.ssul> 참석 후기
안녕하세요! 오늘 비전공자 구직/이직준비 분들이 가장 관심 있을만한 세미나!에 다녀왔습니다! OKKY에서 주최하신 OKKY 미니세미나 비전공 학원출신 SI개발자, 유명스타트업 들어간.ssul 입니다.
okky.kr
OKKY 에 있는 글이라는데 자료구조, 운영체제, 네트워크, 알고리즘에 대한 중요성을 어필하고 있다
okky.kr/article/314296?note=1036129
OKKY | 요즘 IT 신입 안뽑나요??
카카오는 아예 신입 사원이 씨가 말랐어요 ㅜㅜ 네이버는 작년 10월에 공채 뽑았다고 하지만.. 저같이 가을 졸업인 학부생은 IT 기업중에 마땅히 지원할 곳이 없는것 같아요
okky.kr
여기에 연결되는 네이버 CTO 송창현님의 글에 개발자로서 자세와 같은 얘기 나온다.
물론 대한민국을 대표하거나 기준점이 꼭 네이버는 아니지만 대외적인 목소리로서 필요한 부분에 대해 얘기하고 있어서 할말은 하는 회사로 생각해 보자
digital.mk.co.kr/premium/share.php?no=10139
네이버 송창현 CTO의 `우리 회사 이렇게 채용한다`
[프리미엄 채용IR - 32] 네이버는 `60세가 돼도 현장에서 계속 코딩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찾고 있습니다. 네이버 개발직군 채용을 총괄하는 송창현 최고기술경영자(CTO)는 무엇보다도 실력과 열
digital.mk.co.kr
이 분은 지금 포티투닷이라는 스타트업을 차리셨는데 Code42 일 때 2차면접에서 처참히 깨졌다.. 공부가 부족했는데 역시나 아직 시작못한 CS 영역에 대한 질문들을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고 가비지 콜렉터 구조나 기타 코어적인 기술이론 부분에서 부족했다. 즉 공부했다면 대응가능한 부분들이었는데 왜냐하면 그 부분은 직접 코딩을 하거나 내가 만드는 부분이 아니라 잘 만들어진걸 사용하는 코어 시스템과 관련된 부분들이었다. 이런 내용들은 귓동냥으로 어서 얼핏 듣다만 내용들이라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회사정보를 찾아보다 인상깊었던 면접 후기도 보게 되었다
blog.naver.com/dmatrix/221770545015
CODE42.ai 면접
미래에 자율주행이 사회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수 있다고 생각하여 CODE42.ai에 지원을 하였다. 내가 가...
blog.naver.com
어짜피 다시 시작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꼭꼭 곱씹어 다시는 같은 실수를 하지 말자. 준비된 사람이 되자.
조금 더 정확히 말하면 스스로 학습을 잘 할 수 있는 학습에 있어 성공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후기글을 보고 작성해본 나의 2021년 Mandal-art 차트를 남겨본다.
2021년 12월 내가 이것을 다시 보았을 때 나는 과연 발전하는 사람일까?
'My Life > who?'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ying JOB - Prologue (0) | 2017.10.01 |
---|---|
2015년도에 쓴 글 (0) | 2017.10.01 |
시작과 명분 (2) | 2017.10.01 |